-----------------------------------------------------------------------------
https://accounts.binance.com/register?ref=21391362 <- 레퍼럴 코드로 바이낸스 선물 수수료 할인받기
레퍼럴 코드 : 21391362
-----------------------------------------------------------------------------
1. Taker 와 Maker
수수료 때문에 지정가를 이용해서 많이들 거래하실텐데 Taker 와 Maker 라는 용어를 들어 보셨을 겁니다.
두 용어가 무엇인지 알아봅시다.
Taker 는 취하는 자라는 뜻으로 호가창에 올라가기전에 매매를 하여 즉시 체결합니다. Maker 들의 거래량을 차감시키는 역할을 하며, 실질적으로 거래를 발생시킵니다. Maker는 만드는자라는 뜻으로 호가창에 원하는 가격을 올린 뒤 Taker 가 가격을 체결합니다.
Maker 가 가격을 형성하면 Taker 가 실질적으로 체결하여 둘의 조합을 통해 시장가격이 형성됩니다. 정리를 하면 Taker 는 현재가를 즉시 체결이고 Maker 는 현재가보다 높거나 낮아서 호가창에 올라가는 주문들입니다.
시장가로 즉시 체결 하면 Taker 입니다. 만약에 지정가를 통해서 현재가로 즉시 체결하면 Taker 일까요? Maker 일까요? 답은 Taker 입니다. 주문이 호가창에 올라가지 않고 즉시 체결되었기 때문입니다.
https://www.binance.com/en/support/faq/what-are-market-makers-and-takers-360007720071
2. 기초 자산과 견적자산
바이낸스에서 get_klines 로 캔들 정보를 가져오면 거래량 정보를 알 수 있는데 volume 은 우리가 알지만 다른 3가지가 더 있습니다. 이 정보들은 뭘까요?
- quote asset volume
- Taker buy base asset volume
- Taker buy quote asset volume

base asset 은 기초 자산이고 quote asset 은 견적 자산입니다. 예를 들어서 사과 1개에 천원이라고 해봅시다. 그러면 사과는 기초 자산이고 현금은 견적 자산이 됩니다. 사과 가격이 비쌀 수록 사과의 가치가 높습니다. 즉 견적 자산이 클수록 기초 자산의 가치가 높죠. 우리는 현금으로 사과를 사고 파는데 일반적인데 관점을 바꿔서 "사과로 현금을 산다" 라는 관점으로 접근해봅시다. 그러면 저것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BTC/ETH 거래의 경우 비트코인으로 이더리움을 살 수 있고 이더리움으로 비트코인을 살 수 있습니다. 그러면 용어들의 뜻은 다음과 같습니다.
take buy base asset volume = 기초 자산 매수 거래량
taker buy quote asset volume = 견적 자산 매수 거래량
quote asset volume = 견적 자산 총 거래량
-----------------------------------------------------------------------------
https://accounts.binance.com/register?ref=21391362 <- 레퍼럴 코드로 바이낸스 선물 수수료 할인받기
레퍼럴 코드 : 21391362
-----------------------------------------------------------------------------
'비트코인' 카테고리의 다른 글
투자 비율 정하기 (2) - 마틴게일 (1) | 2024.02.01 |
---|---|
투자 비율 정하기 (1) - 켈리 공식 기준 - 2 (0) | 2024.01.28 |
투자 비율 정하기 (1) - 켈리 공식 기준 (0) | 2024.01.18 |
[비트코인] 선물거래 시작전 필독 (0) | 2022.08.12 |
[비트코인] 바이낸스 회원가입하는 방법 (0) | 2022.08.12 |